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청년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 소득조건 / 신청기간 / 납입금액 /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능 여부 비교

by 부되블 2023. 1. 26.

    [ 목차 ]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부자되는 블로그 N잡부자입니다.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6월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만19세~34세)들이 가입할 수 있는 제도로 납입금에 정부가 일부를 지원하고,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청년들을 위한 혜택인데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 및 소득조건과 신청기간, 그리고 작년에 많은 청년들이 가입했던 청년희망적금과 어떻게 다른지 또 청년희망적금과 중복해서 가입이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한 목적으로 출시되는 정부지원 사업입니다.

 

본인이 납입하는 납입금 외 정부가 3~6%의 기여금을 지원해주며, 은행에서 이자를 받을 때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는 제도라고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소득조건

 

청년도약계좌는 가입대상연령과 소득조건 2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1. 가입대상: 2023년 기준 만19세~만34세 이하(1988년~2004년생)

*이때 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에 미산입됩니다. 즉, 만35세의 청년의 경우 2년간 군대를 다녀왔으면 만 33세로 계산되어 가입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2. 소득조건: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기준 중위소득 대비 180%이하

*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을 증명할 수 없는 무직일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2023년 중위소득 180% 기준 금액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3,740,206
2인 6,221,079
3인 7,982,669
4인 9,721,735
5인 11,395,238
6인 13,010,366

기준 중위소득 180%이하여야하기 때문에 위 표를 참고 하셔서 가입 전 대상 여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납입한도 (+ 정부 기여금)

 

1. 신청기간: 2023년 6월 중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정확한 사업시작 일자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만 6월 중 출시 예정으로 지난 청년희망적금과 동일하게 생년월일 끝자리에 따라 요일별로 5일제 신청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납입한도: 월 40만원~70만원

3. 납입기간: 5년 의무가입

납입기간 이내에 해지할 경우, 감면세액이 추징되기 때문에 본인이 납입할 수 있는 금액을 고려하여 의무가입기간 5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정부 기여금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한 정부제도인만큼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데, 소득에 따라 3~6%로 차등 지급됩니다. 

 

<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

연소득 고정 정부 기여금 본인 기여금 한도 저축 비례
정부 기여금 한도
합계
2,400만원 이하 20만원 30만원 20만원 70만원
2,400~3,600만원 이하 - 50만원 20만원 70만원
3,600~4,800만원 이하 - 60만원 10만원 70만원
4,800만원 초과 - 70만원 - 70만원

 

소득에 따라 지원되는 정부 기여금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 소득을 잘 확인하신 후 가입여부를 결정하셔야하는데요.

만약 본인 소득이 3,600만원 이하일 경우 매월 50만원을 저축할 때, 저축비례 정부지원금이 20만원 지원되어 총 70만원을 납입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4,800만원 초과일 경우 정부 기여금은 지원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의무가입기간 5년이라는 조건이 붙어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지 꼼꼼히 따져본 후 가입을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분석(+중복 가능 여부)

 

마지막으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해보도록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가입연령기준과 이자소득세가 비과세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납입기간 및 납입한도가 늘어났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의무가입기간이 5년이나 된다는 점이 가장 크게 와닿는데,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해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하는 분들이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도약계좌의 5년 의무가입기간은 청년도약계좌의 약점으로 작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개인의 소득만 충족시키면 가입이 가능했는데, 이번엔 가구중위소득까지 함께 만족해야하기 때문에 가입대상이 적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소득에 상관없이 최대 36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했는데,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는 차이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중복가입여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아직 협의중에 있어 정확히 알 수는 없다고합니다.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해 올 6월 새롭게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만큼 본인의 소득과 저축가능한 기간 및 금액을 고려해서 슬기롭게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금 투자 방법 5가지 총정리(금현물ETF, 금선물 ETF, 금현물 투자 등)

1. 금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2. 금 통장(골드뱅킹) 3. 금 펀드 4. 금선물 ETF 5. 금현물 투자 6. (NEW) 금현물 ETF 금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손꼽히는 자산군입니다. 금이 안전

my-trace-story.com

 

 

적금 풍차돌리기 | 고금리 시대 맞춤 재테크, 적금 풍차돌리기란? 재테크 초보라면 추천합니다

기준 금리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등 경기가 침체기로 들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예·적금 상품에 많은 돈이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기준 금리가 상승하면 개인의 이자부담이 커지

my-trace-story.com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