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등 경기가 침체기로 들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예·적금 상품에 많은 돈이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기준 금리가 상승하면 개인의 이자부담이 커지기도 하지만, 다양한 금융 상품들의 금리도 높아지기 때문에 고금리 시대에서 예금과 적금은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금과 적금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적금 풍차돌리기에 대한 관심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적금 풍차돌리기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금 풍차돌리기란?
적금 풍차돌리기란 12개월동안 매달 적금을 새로 가입해 1년 뒤부터 매달 이자와 원금을 함께 받는 투자 방식입니다.
1월부터 적금 풍차돌리기를 하기로했다면 1월에 1년 만기 적금A에 가입하고, 2월에 적금B, 3월에 적금C에 가입하는 식으로 점점 적금의 갯수를 늘린 뒤 1년 뒤에는 1월에 가입했던 적금A의 만기가 돌아오는 것을 시작으로 매달 만기된 적금을 이자와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 풍차돌리기를 통해 1년동안 10만원짜리 적금을 12개 들었다면 1년 뒤부터는 매달 120만원이상의 목돈을 꾸준히 받을 수 있게됩니다. 적금을 12개나 가입해야해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요즘엔 스마트폰으로 쉽게 계좌 개설이 가능해서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재테크 초보자들이 시작하기에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금처럼 고금리 시대에는 더욱 주목받는 재테크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적금 풍차돌리기 장점
1. 적금을 유지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생활을 하다보면 예상하지 못한 변수가 생겨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사람들은 제일 먼저 가입해두었던 적금을 해지하여 목돈을 마련합니다. 이럴 때 매달 120만원을 하나의 적금에 들어서 관리했다면 중도해지 시 약정이율을 못받는 손해를 보게되는 리스크가 크게 작용하게됩니다.
하지만 적금 풍차돌리기를 통해 여러개의 적금을 가입해 관리하고 있었다면, 필요한 금액에 맞는 1~2개의 적금만 해지하면 되기 때문에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적금 풍차돌리기를 하기 위해 매달 금리가 높은 적금을 찾아보고 가입하는 행위를 통해 자연스럽게 저축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매달 일정한 금액을 저축해야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돈 모으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매달 적금을 드는 12개월동안은 조금 힘들 수 있지만 1년 뒤부터 매달 돌아오는 만기를 보며, 저축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점도 적금 풍차돌리기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아직 저축이나 자산관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회초년생이나 재테크 초보자라면 적금 풍차돌리기를 통해 재테크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적금 풍차돌리기 주의사항
적금 풍차돌리기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매달 본인이 얼마정도 저축할 수 있는지 범위를 정해놓고 시작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본인이 매달 60만원을 저축할 수 있다면 60만원을 12개월로 나눈 뒤 5만원짜리 적금으로 시작을 해야합니다. 그렇게 정해두어야 12개의 적금에 돈을 넣어야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부담없이 저축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달 적금을 드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분기별이나 2달에 한 번정도 가입하는 등 본인의 스타일에 맞는 적금 풍차돌리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적금 풍차돌리기는 요즘과 같은 고금리 시대에 하기 좋은 간단한 재테크 방법입니다. 아직 저축습관이 생기지 않았거나, 재테크가 어려운 초보자 분들이라면 적금 풍차돌리기를 시작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재테크해요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란우산공제 가입방법 및 가입대상 가입불가업종은? (0) | 2023.02.26 |
---|---|
소상공인을 위한 노란우산공제란? 소득공제도 가능한 노란우산공제 혜택 알아보기 (0) | 2023.02.17 |
CMA란? 매일 이자를 주는 통장 / 비상금 관리 통장 (0) | 2022.08.14 |
재테크의 시작, 고정비 줄이는 방법(교통비와 공과금 아끼는 방법) (0) | 2022.08.12 |
4개의 통장, 그것이 궁금하다 - 통장쪼개기 2번째 이야기 (0) | 2022.07.26 |
댓글